맨위로가기

프리퀀트 윈드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퀀트 윈드 작전은 1975년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약 24시간 동안 진행된, 베트남 전쟁 종전 직전 미국이 사이공에서 자국민과 동맹국을 대피시킨 작전이다. 미국은 4가지 대피 옵션을 준비했으며, 최종적으로는 헬리콥터를 이용한 대피 작전을 실행했다. 이 작전을 통해 1,373명의 미국인과 5,595명의 베트남인 및 제3국 국민이 해군 함선으로 탈출했으며, 떤선녓 공군 기지 공격, 대피 신호 발령, 미국 대사관 및 국방무관 사무소(DAO)에서의 대피 등이 이루어졌다. 작전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지만,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과 굴욕적인 패배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교 - 보트피플
    보트피플은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배를 타고 탈출한 난민들을 지칭하며, 정치적 탄압,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동남아시아 국가로 향했으나, 탈출 과정에서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고 국제 사회는 난민 캠프 설치 및 재정착 지원 노력을 기울였다.
  • 제럴드 포드 행정부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 제럴드 포드 행정부 - 우주 경쟁
    우주 경쟁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 간의 과학기술 및 군사적 경쟁으로 시작되어 인공위성 발사, 우주 비행사 배출, 달 착륙 등 우주 개발 전반에 걸쳐 심화되었으며, 로켓 기술과 통신 기술 발전을 이끌었다.
  • 남베트남의 역사 - 베트남화
    베트남화는 닉슨 행정부가 미군 철수와 남베트남군 전투력 강화를 통해 남베트남이 스스로 공산주의 세력에 대응하도록 지원한 베트남 전쟁 종결 전략이었으나, 남베트남 패망으로 실패했다.
  • 남베트남의 역사 -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은 1907년 영사관으로 시작하여 남베트남 주재 대사관으로 운영되었으며,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폐쇄되었다가, 1995년 미-베트남 외교 관계 정상화 이후 철거되었다.
프리퀀트 윈드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작전 개요
명칭프리퀀트 윈드 작전
작전명 의미자유로운 바람 작전
부분사이공 함락, 베트남 전쟁의 일부
시기1975년 4월 29일 - 1975년 4월 30일
장소남베트남 사이공 근해, 붕따우 반도에서 떨어진 해상
결과성공적인 철수 작전
교전 세력
교전 4베트콩
지휘관
지휘관 1조지 P. 스틸(George P. Steele)
지휘관 2리처드 E. 캐리(Richard E. Carey)
지휘관 3반 티엔 둥(Văn Tiến Dũng)
전력
전력 1항공모함 2척
호위함 1척
구축함 8척
상륙함 14척
전력 2-
피해 규모
피해 1전사자 2명, 해상 실종자 2명
피해 2미상
이미지
프리퀀트 윈드 작전 중 USS 오키나와 함에서 밀려 떨어지는 남베트남 헬리콥터
갑판 공간 확보를 위해 USS 오키나와에서 밀려 떨어지는 남베트남 헬리콥터
USS 미드웨이 (CV-41)에 있는 CH-53 헬리콥터, 1975년 4월
항공모함 미드웨이에서 대기 중인 CH-53 헬리콥터

2. 배경

미국군 주도의 탈출 작전 외에도 남베트남에서는 삼판(sampan)을 이용한 해상 탈출, 싸이공 국제공항에서 태국의 우본 등으로 가는 항공기를 이용한 탈출 등 다양한 방식의 탈출이 이루어졌다.

남베트남 해군 함정은 필리핀의 수빅 해군기지로 가던 중, 필리핀 정부가 북베트남을 국가 승인하고 남베트남은 국가가 소멸했다는 이유로 입항을 불허하여, 남중국해에서 남베트남 국기를 내리고 성조기를 게양하기도 했다.[48]

1975년 봄, 파리 평화 협정에도 불구하고 북베트남은 대대적인 공세를 펼쳐 남베트남을 붕괴 직전으로 몰아넣었다.[47] 4월 21일 즈엉록 전투 함락과 응우옌반티우 대통령의 사임은 남베트남의 멸망이 임박했음을 보여주었다.

미국은 1975년 4월 이전부터 남베트남에서 미국인과 남베트남 동맹국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계획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탈론 바이스(Talon Vise)"라는 암호명으로 불렸으나, 암호명이 노출되면서 작전명이 "프리퀀트 윈드(Frequent Wind)"로 변경되었다.[7]

당시 프리퀀트 윈드 계획은 약 8,000명의 미국 시민과 제3국 국민을 대피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남베트남인의 수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다.[6] 대사관 명단에는 약 1만 7천 명의 위험에 처한 베트남인이 있었고, 가족당 평균 7명의 부양가족을 고려하면 대피가 필요한 사람은 11만 9천 명에 달했다. 다른 유형의 베트남인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20만 명을 넘었다.[6]

1975년 4월 9일, 포드 미국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와 회의를 가졌는데, 키신저는 최대 170만 명을 피난민으로 지목했다. 여기에는 미국 시민과 그 친척, 외교 사절단, 국제감시통제위원회(ICCS), 미국 정부와 계약을 맺은 제3국 국민, 미국 시민의 베트남 친척, 베트남 정부 고위 관리 및 그들의 부양가족, 과거 미국에 고용되었던 베트남인과 그들의 부양가족 등이 포함되었다.[4]

프리퀀트 윈드 계획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대피 옵션을 제시했다.[6]


  • 옵션 1: 떤선녓 등 남베트남 공항에서 민간 항공기를 이용한 대피
  • 옵션 2: 떤선녓 등 남베트남 공항에서 군용 항공기를 이용한 대피
  • 옵션 3: 사이공 항구에서 해상 수송을 이용한 대피
  • 옵션 4: 남중국해의 미국 해군 함정으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대피


옵션 4의 헬리콥터 대피는 1975년 4월 12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미국이 실시한 이글 풀 작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8]

2. 1. 미국의 인도차이나 개입과 철수

1975년 4월 12일, 미국 제9해병양륙여단은 헬리콥터와 대피를 위한 보안군 제공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그레이엄 마틴 남베트남 주재 미국 대사에게 대표단을 파견했다. 마틴 대사는 미국이 남베트남을 포기할 의도가 있다는 어떠한 징후도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제9해병양륙여단 사령관 리처드 E. 캐리 준장은 다음 날 사이공으로 가서 마틴 대사를 만났는데, 그는 이 만남이 "차갑고 생산적이지 않았으며 대사에게 자극적인 것으로 보였다"고 회고했다.[49]

사이공 함락 직전인 1975년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약 24시간 동안, 미국 시민 1,373명과 남베트남 시민 및 기타 국적자 5,595명이 미국군 및 에어 아메리카헬리콥터를 통해 남중국해의 미국 해군 함선(항공모함 미드웨이, 헌콕 등)으로 탈출했다. 남베트남 지상에서 탈출을 보호한 전투 부대는 제9해병상륙여단(9th Marine Expeditionary Brigade (United States)|9th MAB영어) 소속 제4해병연대 제2대대와 제9해병연대 제2대대였다.

탈출 과정에서 미국 해군항공모함 갑판에 너무 많은 남베트남 헬기가 몰려들어 새로운 헬기가 착륙할 공간이 부족해지자, 많은 헬기를 남중국해에 버려야 했다.[47] 헬리콥터 조종사들은 피난민과 승무원을 미군 함선에 내려놓은 후, 해상에서 헬리콥터를 버리고 탈출하여 미군 함선의 보트에 구조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미국군은 국제적십자위원회 등을 통해 북베트남군에 사이공 시내 진입을 늦춰달라고 요청했고, 북베트남군은 이를 승낙했지만, 결국 4월 30일 오전에 작전을 종료할 수 있었다.

2. 2. 1975년 봄, 북베트남의 총공세



1975년 봄, 파리 평화 협정에도 불구하고 북베트남은 대대적인 공세를 감행하여 남베트남을 붕괴 직전으로 몰아넣었다.[47] 북베트남군의 진격 속도와 남베트남군의 붕괴 속도는 미국 정보 기관의 예상을 뛰어넘는 것이었다. 특히, 4월 21일 즈엉록 전투의 함락과 응우옌반티우 대통령의 사임은 남베트남의 멸망이 눈앞에 다가왔음을 시사했다.

2. 3. 대피 계획 수립

1975년 4월 이전부터 미국은 남베트남에서 미국인과 남베트남 동맹국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계획을 시작했다. 원래 코드명은 "탈론 바이스(Talon Vise)"였지만, 코드명이 노출되면서 작전명이 "프리퀀트 윈드(Frequent Wind)"로 변경되었다.[7]

1975년까지 프리퀀트 윈드 계획은 약 8,000명의 미국 시민과 제3국 국민을 대피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남베트남인의 수는 추산할 수 없었다.[6] 대사관 명단에는 약 1만 7천 명의 위험에 처한 베트남인이 있었는데, 가족당 평균 7명의 부양가족을 고려하면 대피가 필요한 사람은 11만 9천 명이었다. 다른 유형의 베트남인을 포함하면 그 수는 빠르게 20만 명을 넘었다.[6]

1975년 4월 9일 제럴드 포드 대통령의 국가안전보장회의 회의록(주제: 베트남, 캄보디아)(제럴드 포드 도서관)(1552383). 피난 계획이 광범위하게 논의됨


1975년 4월 9일 포드 미국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와 회의를 가졌을 때, 키신저는 최대 170만 명이 피난민으로 확인되었으며, 여기에는 미국 시민과 그들의 친척, 외교 사절단, 국제감시통제위원회(ICCS), 미국 정부와 미국 정부 고용인 및 그들의 부양가족(약 20만 명으로 추산)과 계약을 맺은 제3국 국민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 시민의 베트남 친척과 베트남 정부 고위 관리 및 그들의 부양가족(약 60만 명), 과거 미국에 고용되었던 베트남인과 그들의 부양가족도 잠재적 피난민으로 확인되었다.[4]

프리퀀트 윈드 계획은 네 가지 대피 옵션을 제시했다.[6]

  • 옵션 1: 필요에 따라 떤선녓 및 기타 남베트남 공항에서 민간 항공기를 이용한 대피
  • 옵션 2: 필요에 따라 떤선녓 및 기타 남베트남 공항에서 군용 항공기를 이용한 대피
  • 옵션 3: 사이공 항구에서 해상 수송을 이용한 대피
  • 옵션 4: 남중국해에 있는 미국 해군 함정으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대피


옵션 4의 경우, 헬리콥터 대피는 1975년 4월 12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미국이 항공으로 실시한 이글 풀 작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8]

3. 작전 준비

1975년 4월 1일, 미국 육군, 미국 해군, 미국 공군(USAF), 미국 해병대(USMC) 인원으로 구성된 대피 통제 센터가 사이공 주재 미국 무관부(DAO) 부지에서 운영을 시작했다.[6] 같은 날, DAO 부지와 그 부속 건물을 방어하여 5일 동안 1,500명의 대피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알라모 계획(Plan Alamo)이 시행되었다.[6] 4월 16일까지 알라모 계획은 완료되어 물, C-ration(군용 통조림), 석유, 윤활유가 비축되었고, 예비 발전기가 설치되었으며, 위생 시설이 완료되었고, 철조망이 주변을 보호했다.[6]

사이공 내 미국인들을 위한 집결 지점 지도


4월 7일, 에어 아메리카 소속 조종사 니키 A. 필리피(Nikki A. Fillipi)와 미국 해병대 로버트 트위거(Robert Twigger) 중위(미 해군 연락 장교)는 사이공에 있는 37개 건물을 잠재적인 착륙 지점(LZ)으로 조사하여 그중 13곳을 사용 가능한 곳으로 선정했다.[9] 태평양 건축가 및 엔지니어의 작업자들이 13개의 착륙 지점을 방문하여 장애물을 제거하고 UH-1 휴이 헬리콥터의 스키드 크기만 한 H자 표시를 페인트로 칠했다.[6]

4월 12일, 제9 해병 원정 여단(9th MAB)은 대사 그레이엄 마틴과 현재 계획에 대해 상의하기 위해 대표단을 파견했다. 마틴 대사는 미국이 남베트남을 버릴 의도가 있다는 외부 징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모든 계획은 최대한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했다. 제9 MAB 사령관인 리처드 E. 케리(Richard E. Carey) 준장은 다음 날 마틴 대사를 만나기 위해 사이공으로 갔는데, 그는 나중에 "방문은 냉담했고, 생산적이지 않았으며, 대사에게 불쾌감을 준 것 같았다"고 말했다.[9]

4월 말, 에어 아메리카 헬리콥터는 TF76에서 DAO 부지로 매일 여러 차례 왕복 비행하여 제9 MAB가 파리 평화 협정의 남베트남 내 미국 군인 50명 제한을 초과하지 않고 DAO에서 대피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 정부는 북베트남의 침공에도 불구하고 협정에 따른 의무를 계속 준수했다.[10]

3. 1. 지상 준비

4월 1일, 미국 육군, 해군, 공군(USAF), 해병대(USMC) 인원으로 구성된 대피 통제 센터가 사이공 주재 미국 무관부(DAO) 부지에서 운영을 시작했다.[6] 같은 날, DAO 부지와 그 부속 건물을 방어하여 5일 동안 1,500명의 대피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알라모 계획(Plan Alamo)이 시행되었다.[6] 4월 16일까지 알라모 계획은 완료되었으며, 물, C-ration(군용 통조림), 석유, 윤활유가 비축되었고, 예비 발전기가 설치되었으며, 위생 시설이 완료되었고, 철조망이 주변을 보호했다.[6]

4월 7일, 에어 아메리카(Air America) 소속 조종사 니키 A. 필리피(Nikki A. Fillipi)와 미국 해병대 로버트 트위거(Robert Twigger) 중위(미 해군 연락 장교)는 사이공에 있는 37개 건물을 잠재적인 착륙 지점(LZ)으로 조사하여 그중 13곳을 사용 가능한 곳으로 선정했다.[9] 태평양 건축가 및 엔지니어(Pacific Architects and Engineers)의 작업자들이 13개의 착륙 지점을 방문하여 장애물을 제거하고 UH-1 휴이 헬리콥터의 스키드 크기만 한 H자 표시를 페인트로 칠했다.[6]

4월 12일, 제9 해병 원정 여단(9th Marine Amphibious Brigade, 9th MAB)은 현재 계획에 대해 대사 그레이엄 마틴과 상의하기 위해 대표단을 파견했다. 마틴 대사는 미국이 남베트남을 버릴 의도가 있다는 외부 징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모든 계획은 최대한 신중하게 진행되어야 했다. 제9 MAB 사령관인 리처드 E. 케리(Richard E. Carey) 준장은 다음 날 마틴 대사를 만나기 위해 사이공으로 날아갔는데, 그는 나중에 "방문은 냉담했고, 생산적이지 않았으며, 대사에게 불쾌감을 준 것 같았다"고 말했다.[9]

4월 말까지 에어 아메리카 헬리콥터는 TF76에서 DAO 부지로 매일 여러 차례 왕복 비행하여 제9 MAB가 파리 평화 협정의 남베트남 내 미국 군인 50명 제한을 초과하지 않고 DAO에서 대피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미국 정부는 북베트남의 침공에도 불구하고 협정에 따른 의무를 계속 준수했다.[10]

3. 2. 고정익 항공기 대피 (옵션 1, 2)

3월 말, 미국 대사관은 가족과 비필수 인원의 철수를 독려하여 베트남 내 미국 시민 수를 줄이기 시작했다. 민간 항공편과 군사 수송 사령부(Military Airlift Command, MAC)의 C-141 및 C-5 갤럭시 항공기를 이용했다.[6] 4월 4일, 베트남 고아 250명과 그들의 호위자들을 태운 C-5A 항공기가 붕따우(Vũng Tàu) 근해 상공에서 폭발 감압을 겪고 탄손누트 공항으로 복귀하는 도중 불시착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153명이 사망했다.[6] 4월 25일,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은 남베트남으로 향하는 민간 항공편을 금지했다.[6]

3. 3. 해상 병력 집결 (옵션 3)

1975년 4월 18일부터 24일까지, 사이공 함락이 임박하자 미 해군은 제76기동부대(Task Force 76) 사령관 지휘 아래 붕따우(Vũng Tàu) 앞바다에 함선들을 집결시켰다.[8] 군사 해상 수송 사령부(MSC) 소속 함선들도 사이공항(Saigon Port)에서 해상 대피를 수행하기 위해 모였다.
제76기동부대(Task Force 76)

함종함명비고
지휘함기함
순양함제7함대 기함
수송단 알파
(제76.4기동단)
수송단 브라보
(제76.5기동단)
수송단 찰리
(제76.9기동단)



추가 합류 함선:






각 항공모함에는 해병대와 공군 헬리콥터(제21특수작전비행대대 소속 CH-53 8대와 제40항공구조 및 복구비행대대 소속 HH-53 2대[11])가 탑재되었다.

  • 상륙함: , ,
  • 유도 미사일 구축함:
  • 구축함급 함정 8척: , , , , , [12], [13]


제77기동부대(Task Force 77)의 와 항공모함 전투단이 공중 지원을, 제73기동부대가 물류 지원을 담당했다.

해병대 철수 부대인 제9해병상륙여단(제79.1기동단)은 3개 대대 상륙팀(BLT) (2/4, 1/9, 3/9)과 HMH-462, HMH-463, HMM-165 3개 헬리콥터 비행대대, 그리고 해병항공단 39(MAG-39)의 기타 지원 부대로 구성되었다.
군사 해상 수송 사령부(MSC) 함선

함종함명
예인선
대형 수송선


4. 작전 실행 (옵션 4)

사이공 함락 직전인 1975년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약 24시간 동안, 미국 시민 1373명, 남베트남 시민 및 기타 국적자 5595명이 미국군 및 에어 아메리카헬리콥터를 통해 남중국해의 미국 해군 함선(항공모함 미드웨이, 핸콕 등)으로 탈출했다.[47] 남베트남 지상에서 탈출을 보호한 전투 부대는 제9해병상륙여단이었으며, 이 여단에는 제4해병연대 제2대대와 제9해병연대 제2대대가 속해 있었다.

미국 해군항공모함 갑판이 남베트남 헬리콥터로 가득 차, 새로운 헬리콥터가 착륙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헬리콥터를 남중국해에 버려야 했다.[47] 일부 조종사들은 피난민과 승무원을 미군 함선에 내려준 후, 해상에서 헬리콥터를 버리고 미군 함선의 보트에 의해 구조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미국군은 국제적십자위원회 등을 통해 북베트남군에게 사이공 시내 진입을 늦춰달라고 요청했고, 북베트남군은 이를 승낙했지만, 결국 4월 30일 오전에 작전을 종료할 수 있었다.

4. 1. 떤선녓 공군 기지 공격

4월 28일 오후 6시, 베트남 인민공군(VPAF)으로 망명한 전직 남베트남 공군(RVNAF) 조종사들이 조종하는 3대의 A-37 드래곤플라이가 떤선녓 공군 기지를 폭격했다. 이 공격으로 여러 대의 항공기가 파괴되었다. 이후 산발적인 베트남 인민군의 로켓포 공격과 포격이 이어졌고, 4월 29일 오전 4시까지 공격 빈도는 시간당 40발로 증가했다.[51]

오전 7시, 남베트남 주재 미국 국방무관이었던 호머 D. 스미스 소장은 고정익 항공기를 이용한 대피를 중단하고, 헬리콥터를 이용해 미군과 위험에 처한 베트남인들을 대피시키는 프리퀀트 윈드 작전을 시작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그러나 그레이엄 마틴 대사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직접 떤선녓 공군 기지를 방문하여 상황을 파악하려 했다. 결국 10시 51분에 프리퀀트 윈드 작전 개시 명령이 내려졌으나, 지휘 계통의 혼란으로 인해 캐리 장군은 12시 15분이 되어서야 집행 명령을 받았다.[51]

4. 2. 대피 신호 발령

미국 대사관은 대피 준비를 위해 "비상시 민간인을 위한 표준 지침 및 조언"을 줄여 SAFE라고 부르는 15페이지 분량의 소책자를 배포했다. 이 소책자에는 사이공 지도가 포함되어 있었고, "헬리콥터가 픽업할 집결 지역"을 정확히 표시했다. 삽입 페이지에는 "대피 신호에 유의하십시오. 다른 직원에게 알리지 마십시오. 대피 명령이 내려지면 코드가 미군 방송에서 방송됩니다.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이공의 기온은 105도이고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후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꿈꾸며가 재생됩니다."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프랭크 스넵은 나중에 라디오에서 노래가 흘러나오는 동안 대사관에 헬리콥터가 도착한 것을 "기이한 카프카적 순간"이라고 회상했다. 일본 언론인들은 곡을 알아듣지 못할까 봐 걱정하여 누군가에게 노래를 불러달라고 해야 했다.

4. 3. 주월 미국 대사관 무관 사무소(DAO)에서의 대피

4월 29일 14시 06분, 알프레드 M. 그레이 주니어 대령과 제4 해병 상륙 부대(RLT4) 사령관을 태운 UH-1E 휴이 헬리콥터 2대가 주월 미국 대사관 무관 사무소(DAO) 부지에 착륙했다.[6] 이들은 곧바로 해병대 CH-53 헬리콥터와 지상 경비대의 도착에 대비하여 간이 지휘소를 설치했다.[10]

15시 06분, HMH-462 소속 CH-53 헬리콥터 12대가 제2/4 상륙전투대대(BLT 2/4)를 태우고 DAO 부지에 도착했고, 해병대원들은 즉시 주변 방어를 강화했다. 헬리콥터 접근 당시 베트남 공화국군(ARVN) 병사들로부터 소총과 M-79 수류탄 사격을 받았으나, 피해는 없었다.[6] 뒤이어 15시 15분에 HMH-463 소속 CH-53 헬리콥터 12대가 도착하여 나머지 BLT를 수송했다. 그 후 HMH-463 소속 CH-53 헬리콥터 2대와 미 공군 제40 항공 우주 구조 및 회복 중대 소속 CH-53C 헬리콥터 8대, HH-53 헬리콥터 2대가 도착했다.[10]

HMH-462 소속 CH-53 헬리콥터들은 피난민을 태우고 부지를 떠났으며, 15시 40분에 프리퀀트 윈드 작전으로 수송된 최초의 피난민들을 내려놓았다.[10]

4월 30일 00시 30분, BLT 2/4의 마지막 부대를 태운 CH-53 헬리콥터 2대가 DAO 주차장을 떠났다.[10]

4. 4. 미국 대사관에서의 대피

4월 25일, USS 한콕 함정에 있던 제9해병원정대 소속 해병 40명이 에어 아메리카 헬기편으로 DAO(국방부 대표단) 구역으로 이동하여 대사관 경비를 담당하는 18명의 해병대 경비대대원들을 지원했다. 추가로 6명의 해병대원은 마틴 대사의 경호를 맡았다.[50]

4월 29일 아침, 대사관 주변에는 약 1만 명의 인파가 모였고, 대사관과 영사관 구역에는 약 2,500명의 대피민이 있었다. 킨 중령과 해병대원들은 10시부터 12시까지 나무들을 베어내고 차량을 이동시켜 청사 건물 뒤편 대사관 주차장에 헬기 착륙장(LZ)을 만들었다. 이제 대사관 구역에는 UH-1CH-46 헬기용 옥상 착륙장과 더 무거운 CH-53 헬기용 새로운 주차장 착륙장 등 두 곳의 착륙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50]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의 항공 사진. 맨 왼쪽은 통녓 대로, 왼쪽은 법원 청사, 중앙은 주차장, 위쪽은 미국 영사관 구내, 사이공 주재 프랑스 대사관이다.


에어 아메리카 UH-1 헬기가 도시 전역의 다른 소규모 집결지에서 대피민들을 태워 대사관 옥상 착륙장에 내려놓기 시작했다. 17시에 첫 CH-46 헬기가 대사관에 착륙했다.

4월 30일 2시 15분까지 CH-46과 CH-53 헬기가 10분마다 대사관에 착륙했다.[51] 4시 58분에 마틴 대사는 HMM-165 소속 미국 해병대 CH-46 시 나이트 헬기, 호출 부호 ''레이디 에이스 09''에 탑승하여 USS 블루리지 함으로 이동했다.[51] CH-46 헬기가 7시까지 상륙대대원들을 대피시켰고, HMM-164 소속 CH-46 ''스위프트 2-2'' 헬기 한 대가 킨 중령과 해병대 경비대대원 10명을 대피시키기 위해 도착했다. 이 마지막 헬기는 4월 30일 7시 53분에 이륙하여 8시 30분에 USS 오키나와 함에 착륙했다.[50]

해병대 경비대대 마지막 대원들이 USS 오키나와 함에 상륙하는 모습

4. 5. 에어 아메리카의 역할

에어 아메리카는 주월 미국 대사관(DAO)과 합의된 대피 계획에 따라 헬리콥터 28대 중 24대를 투입하고, 조종사 31명을 사이공에 남겨 대피 작전을 지원했다.[6] 1975년 4월 29일 08:30, 떤선녓 공항에 대한 포격이 잦아들자 에어 아메리카는 헬리콥터와 고정익 항공기 조종사들을 사이공의 자사 조종사들의 집에서 떤선녓 공항의 에어 아메리카 기지(DAO 기지 건너편)로 수송하기 시작했다.[21]

에어 아메리카 헬리콥터는 사이공 옥상 헬기 이착륙장(LZ)으로 비행하여 피난민들을 DAO 기지로 이송하거나, 제76기동함대(TF76) 함선으로 이동시켰다.[21] 10:30까지 에어 아메리카의 모든 고정익 항공기는 떤선녓 공항을 출발하여 비필수 인원과 베트남 피난민들을 태우고 태국으로 향했다.[21] 오전 중에는 남베트남 공군(RVNAF) 인원이 에어 아메리카 활주로에서 ICCS UH-1H 휴이 5대와 에어 아메리카 벨 204 1대를 가져가기도 했다.[21]

11:00, 케리 장군이 해병대의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에어 아메리카 기지(LZ 40)를 포함하도록 방어선을 확장하려 하지 않아 에어 아메리카 기지의 보안이 악화되었다. 이때부터 모든 에어 아메리카 헬리콥터는 DAO 부속 건물의 테니스장(LZ 35)에서 운영되었다.[10][21] 이로 인해 에어 아메리카는 자사 기지의 연료 공급에 접근할 수 없게 되어 연료 문제가 발생했고, 적어도 초기에는 TF76 함대로부터 연료 공급을 거부당했다.[21]

14:30경, 에어 아메리카 벨 205(N47004)는 자롱 거리 22번지 피트먼 아파트 건물 옥상에 착륙하여 고위 베트남 정보원과 그의 가족을 태우고 떠났다. 이 장면은 허버트 반 에스가 촬영하여 유명해졌다.[21]

에어 아메리카 헬리콥터는 야간까지 옥상에서 피난민들을 태우는 작업을 계속했지만, 항법이 점차 어려워졌다. 헬리콥터들은 지정된 LZ를 상공 비행하며 미국인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 후, 연료가 부족한 마지막 헬리콥터들은 미드웨이호 또는 핸콕호가 있는 TF76으로 향했고, 착륙 후 운행을 중단했다. 모든 에어 아메리카 항공편은 21:00까지 중단되었다.[21] 에어 아메리카는 20대의 휴이(그중 3대는 TF76에서 압류, 침몰 또는 파손됨)만으로 1,000명이 넘는 피난민을 DAO 기지, 대사관 또는 TF76 함선으로 이동시켰다.[21]

4. 6. 해상에서의 혼란

작전 중 알 수 없는 수의 남베트남 공군(RVNAF) 헬리콥터들이 남베트남 잔여 지역에서 함대 쪽으로 날아왔다. 12시경 5~6대의 RVNAF UH-1H와 1대의 도난당한 ICCS UH-1H가 블루리지호 주변을 선회했다. RVNAF 조종사들은 승객을 내려준 후 헬리콥터를 버리고 함선의 보조정(tender)에 의해 구조받도록 지시받았다. 도난당한 ICCS 휴이(Huey) 헬리콥터 조종사는 함선의 좌현 후미에 착수하라는 지시를 받았지만, 주저하는 듯 함선 주변을 우현 선수까지 선회한 후 약 12.19m 높이에서 헬리콥터에서 뛰어내렸다. 그의 헬리콥터는 회전하여 블루리지호 선체에 부딪힌 후 바다에 추락했다. 테일 로터(tail rotor)가 떨어져 나가 함선 후미 헬리패드에서 핫 리퓨얼링(hot refueling) 중이던 에어 아메리카 벨 205의 엔진에 박혔다. 에어 아메리카 조종사는 헬리콥터를 멈추고 떠났다. 잠시 후, RVNAF UH-1H가 헬리패드에 착륙하려다 에어 아메리카 벨과 로터가 맞물려 거의 바다로 밀릴 뻔했다.[21] 도난당한 에어 아메리카 벨 204는 커크호에 착륙했고, 미 해군 조종사들이 이를 오키나와로 날아갔다.[21]

너무 많은 RVNAF 헬리콥터가 제76기동부대(TF76) 함선에 착륙하여 약 45대의 UH-1 휴이와 최소 1대의 CH-47 치누크가 더 많은 헬리콥터의 착륙을 위해 바다에 밀려났다.[6] 다른 헬리콥터들은 승객을 내려준 후 조종사들이 마지막 순간에 뛰어내려 구조정에 의해 구조받는 가운데 바다에 버려졌다.[24]

더 주목할 만한 사건 중 하나는 미드웨이호에서 발생했는데, RVNAF 세스나 O-1 버드독 조종사가 항공모함 갑판에 메모를 떨어뜨렸다. 메모에는 "헬리콥터를 반대편으로 옮겨주시면 활주로에 착륙할 수 있습니다. 1시간 더 비행할 수 있으며, 헬리콥터를 옮길 시간이 충분합니다. 제발 구해주세요. 부앙(Buang) 소령, 아내와 5명의 아이들"이라고 적혀 있었다. 미드웨이호 함장인 로렌스 체임버스(Lawrence Chambers) 대령은 갑판 승무원에게 착륙 지역을 확보하도록 명령했고, 그 과정에서 약 1000만달러 상당의 UH-1 휴이 헬리콥터가 남중국해로 밀려났다. 갑판이 확보되자 부앙 소령은 갑판에 접근하여 한 번 바운스한 후 착륙하여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멈췄다.[25] 부앙 소령은 항공모함에 착륙한 최초의 RVNAF 고정익기 조종사가 되었다. 같은 날 오후 미드웨이호는 두 번째 세스나 O-1도 회수했다.[6]

공중 대피와 동시에 수만 명의 남베트남 사람들이 정크선, 삼판선 및 소형 선박을 타고 제76기동부대(TF-76)를 향해 피난했다. MSC 예인선은 사람들로 가득 찬 바지선을 사이공 항구에서 제76기동부대(TF-76)로 끌어왔다. 붕따우 남서쪽 롱썬 섬 해상에는 3만 명의 선원, 그들의 가족, 그리고 다른 민간인들이 탑승한 26척의 베트남 공화국 해군 함정과 다른 선박들이 집결해 있었다. 4월 30일 오후, 제76기동부대(TF-76)는 해안에서 멀어지면서 더 많은 난민들을 구조했다. 5월 2일, 프리퀀트 윈드 작전 피난민 4만 4천 명과 베트남 공화국 해군 함정들을 태운 제76기동부대(Task Force 76)는 필리핀의 수용소로 출발했다.[8]

5. 작전 결과 및 영향

프리퀀트 윈드 작전 결과, 탄손누트에서 고정익 항공기로 2,678명의 베트남 고아를 포함한 50,493명이,[6] 헬리콥터로 DAO(미국 방위군 사령부) 건물에서 미국인 395명, 베트남인 및 제3국 국민 4,475명,[10] 대사관에서 미국인 978명, 베트남인 및 제3국 국민 1,120명이 탈출했다.[10] 총 1,373명의 미국인과 5,595명의 베트남인 및 제3국 국민이 에어 아메리카남베트남 공군 항공기 등을 통해 TF76 함대로 철수했으며, 이들 중 다수는 인도차이나 이주 및 난민 지원법에 따라 미국 입국이 허용되었다.

1975년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약 24시간 동안, 미국 시민 1,373명과 남베트남 시민 및 기타 국적자 5,595명은 미국군 및 에어 아메리카헬리콥터를 통해 남중국해의 미국 해군 함선(항공모함 미드웨이, 헌콕 등)으로 탈출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 해군 항공모함 갑판은 남베트남 헬기들로 가득 차, 공간 확보를 위해 많은 헬기가 남중국해에 버려졌다.[47]

thumb 헬리콥터]]

대사관에는 한국인 100여 명을 포함, 약 400명의 피난민이 남았다. 사이공 주재 한국 대사관 정보 책임자 대용(Dai Yong Rhee) 준장[26][27] 등 한국 민간인들은 1976년에 철수했으나, 대용 준장과 다른 두 외교관은 1980년 4월까지 억류되었다.[28]

작전 중 미국 해병대 찰스 맥마흔(Charles McMahon) 상병과 다윈 저지(Darwin Judge) 상병이 DAO 기지에서 전사했는데, 이들은 작전 중 유일하게 전사한 미군이자 베트남에서 지상전으로 인해 마지막으로 사망한 미군이다.[14]

1975년 4월 29일 오후,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UPI) 사이공 주재 사진기자 허버트 판 에스(Hubert van Es)는 22 자롱 거리(현재 22 리터 중 거리) 피트먼 아파트 옥상에서 에어 아메리카 UH-1 헬기가 베트남 피난민을 태우는 모습을 촬영했다.[39] 이 사진은 프리퀀트 윈드 작전의 상징이 되었고, 미국의 외교 정책 비판을 위한 정치 풍자 만화에 자주 사용된다.[40] 뮤지컬 ''미스 사이공(Miss Saigon)''은 이 사진에서 영감을 받아 작전 직전과 작전 중의 사건을 묘사한다.

5. 1. 대피 결과

고정익 항공기로 진행된 철수 작전에서는 탄손누트에서 2,678명의 베트남 고아를 포함한 50,493명이 철수했다.[6] 해병대 조종사들은 프리퀀트 윈드 작전 전반에 걸쳐 1,054시간의 비행 시간을 기록하고 682회의 출격을 수행했다. 헬리콥터 철수 작전에서는 DAO(미국 방위군 사령부) 건물에서 미국인 395명, 베트남인 및 제3국 국민 4,475명이 철수했고,[10] 대사관에서는 추가로 미국인 978명, 베트남인 및 제3국 국민 1,120명이 철수했다.[10] 총 1,373명의 미국인과 5,595명의 베트남인 및 제3국 국민이 철수했다. 에어 아메리카 헬리콥터와 남베트남 공군 항공기는 추가 피난민들을 TF76 함대의 함선들로 수송했다. 많은 베트남 피난민은 인도차이나 이주 및 난민 지원법에 따라 미국 입국이 허용되었다.

1975년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약 24시간 동안, 미국 시민 1,373명, 남베트남 시민 및 기타 국적자 5,595명이 미국군 및 에어 아메리카헬리콥터를 통해 남중국해의 미국 해군 함선(항공모함 미드웨이, 헌콕 등)으로 탈출했다. 남베트남 지상에서 탈출을 보호한 전투 부대는 제9해병상륙여단이었으며, 이 여단에는 제4해병연대 제2대대와 제9해병연대 제2대대가 속해 있었다.

탈출 과정에서 미국 해군항공모함 갑판이 너무 많은 남베트남 헬기로 가득 차, 새로운 헬기가 착륙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헬기를 남중국해에 버려야 했다.[47] 헬리콥터가 피난민과 승무원을 미군 함선에 내려놓은 후, 조종사가 해상에서 헬리콥터에서 탈출하여 미군 함선의 보트에 의해 구조되는 경우도 있었다.

thumb 헬리콥터]]

대사관에는 100명이 넘는 한국인을 포함하여 약 400명의 피난민이 남겨졌다. 그중에는 사이공 주재 한국 대사관의 정보 책임자였던 대용(Dai Yong Rhee) 준장도 포함되어 있었다.[26][27] 한국 민간인들은 1976년에 철수했지만, 대용 준장과 다른 두 명의 외교관은 1980년 4월까지 감금되었다.[28] 가족을 포함한 미국인 49명 또한 사이공에 남겨졌거나 남기를 선택했다. 그들은 1976년 8월 1일에 방콕으로 철수되었다.[29]

5. 2. 사상자

프리퀀트 윈드 작전 중 미국 해병대 상병 찰스 맥마흔(Charles McMahon)과 다윈 저지(Darwin Judge)는 DAO 기지에서 전사했다. 이들은 작전 중 유일하게 전사한 미군이자, 베트남에서 지상전으로 인해 마지막으로 사망한 미군이었다.[14] 해병대 AH-1J 시코브라(SeaCobra) 헬기 한 대는 USS 오키나와(USS ''Okinawa'')를 수색하던 중 연료가 떨어져 바다에 불시착했으나, 승무원 2명은 USS 커크(USS ''Kirk'')의 보트에 의해 구조되었다.[10] 윌리엄 C. 니스툴(William C. Nystul)[32] 대위와 마이클 J. 시어(Michael J. Shea)[33] 중위가 조종하던 USS 한콕(USS ''Hancock'') 소속 HMM-164의 CH-46F 스위프트 1–4(Swift 1–4) 헬기는 야간 해상 및 공중 구조 임무 후 함선에 접근하던 중 바다에 추락했다. 승무원 2명은 생존했지만, 조종사들의 시신은 수습되지 않았다. 추락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10]

5. 3. 대중문화

1975년 4월 29일 오후,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United Press International)의 사이공 주재 사진기자 허버트 판 에스(Hubert van Es)는 프리퀀트 윈드 작전의 상징적인 사진을 촬영했다.[37][38] 이 사진은 22 자롱 거리(현재 22 리터 중 거리)에 있는 피트먼 아파트 옥상에서 에어 아메리카(Air America)의 UH-1 헬리콥터가 베트남 피난민들을 태우는 모습을 담고 있으며,[39] 미국의 외교 정책을 비판하는 정치 풍자 만화에 자주 사용된다.[40]

뮤지컬 ''미스 사이공(Miss Saigon)''의 2막은 프리퀀트 윈드 작전 직전과 작전 중의 사건들을 묘사하며, 주인공(크리스와 킴)이 탈출 과정에서 헤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작가 클로드-미셸 쇤베르크(Claude-Michel Schönberg)는 이 뮤지컬이 탈출 당시의 사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허버트 판 에스는 ''미스 사이공''이 자신의 사진을 부당하게 사용했다고 생각하여 법적 조치를 고려했지만, 결국 취소했다.[41]

이외에도 프리퀀트 윈드 작전은 다음과 같은 작품에서 다뤄졌다.

  • 심슨 가족(The Simpsons) 시즌 6 에피소드 16 "심슨 가족: 호머 대 호주(Bart vs. Australia)"
  • 도안 황(Doan Hoang)이 제작한 2007년 PBS 다큐멘터리 ''오, 사이공(Oh, Saigon)''
  • 2014년 PBS 다큐멘터리 ''베트남의 마지막 날들(Last Days in Vietnam)''[46]
  • 브래독/지옥의 영웅 3(1988년 原題:Braddock: Missing in Action III)

참조

[1]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Vietnam War Houghton Mifflin
[2] 서적 Refugee Workers in the Indochinese Exodus: 1975–1982 MacFarland & Co.
[3] 서적 Last Men Out: The True Story of America's Heroic Final Hours in Vietnam Simon and Schuster 2011-05-03
[4] 웹사이트 NSC Meeting, April 9, 1975 https://commons.wiki[...]
[5] 웹사이트 US Army Field Manual 90-29: Embassy Emergency Action Plan http://www.globalsec[...] 2015-04-28
[6] 서적 USAF Southeast Asia Monograph Series Volume IV Monograph 6: Last Flight from Saigo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7] 서적 The Fall of Saigon: Scenes from the Sudden End of a Long War Simon and Schuster
[8] 웹사이트 Chapter 5: The Final Curtain, 1973 – 1975 https://web.archive.[...] history.navy.mil 2007-07-24
[9] 웹사이트 Air America: Played a Crucial Part of the Emergency Helicopter Evacuation of Saigon p.1 http://www.historyne[...] History Net 2006-06-12
[10] 서적 U.S. Marines in Vietnam: The Bitter End, 1973–1975 (Marine Corps Vietnam Operational Histories Series) https://www.marines.[...] History &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U.S. Marine Corps
[11] 서적 Search and Rescue in Southeast Asia 1961–1975 Office of Air Force History
[12] 웹사이트 Operation Frequent Wind: April 29–30, 1975 http://www.navalhist[...] US Naval Institute – Naval History & Heritage Command 2010-04-29
[13] 웹사이트 USS Bausell Operation Frequent Wind https://web.archive.[...]
[14] 서적 The Last Day Mirror Group Books
[15] 뉴스 Thomas Polgar, CIA official during the fall of Saigon, dies https://www.washingt[...] 2014-03-31
[1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Frank Snepp, 1981 http://openvault.wgb[...] WGBH Media Library & Archives 1981-10-14
[17] 웹사이트 The fall of Saigon https://www.independ[...] 2005-03-05
[18] 서적 Decent Interval: An Insider's Account of Saigon's Indecent End Told by the CIA's Chief Strategy Analyst in Vietnam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9] 서적 Epic Retreats: From 1776 to the Evacuation of Saigon Sarpedon
[20] 서적 The Air Force in Southeast Asia The end of U.S. involvement 1973 – 1975 https://media.defens[...] Office of Air Force History
[21] 웹사이트 Air America in South Vietnam III: The Collapse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22] 웹사이트 Major James H, Kean SSN/0802 USMC, After Action Report 17 April-7 May 1975 p. 3 http://fallofsaigon.[...] Fallofsaigon.org
[23] 웹사이트 Last U.S. Marines to leave Saigon describe chaos of Vietnam War's end https://www.chicagot[...] 2015-04-30
[24] 서적 The Vietnam War: An Almanac https://archive.org/[...] Pharos Books
[25] 간행물 Naval Aviation News: Set Down to Sanctuary Chief of Naval Operations and Naval Air Systems Command 1975-07
[26] 서적 Honorable Exit: How a Few Brave Americans Risked All to Save Our Vietnamese Allies at the End of the War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7] 서적 Without Honor: Defeat in Vietnam and Cambodia JHU Press
[28] 웹사이트 Former South Korean diplomat reconciles with his Vietnamese captors https://web.archive.[...] Yonhap News Agency 2005-03-11
[29] 뉴스 38 Americans evacuated from Vietnam https://news.google.[...] Rome News-Tribune 1976-08-01
[3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Gerald R. Ford, 1982 https://web.archive.[...] WGBH Media Library & Archives 1982-04-29
[31] 서적 Kissinger's Year: 1973 Phoenix Press
[32] 웹사이트 Capt William C Nystul http://thewall-usa.c[...]
[33] 웹사이트 1LT Michael J Shea http://thewall-usa.c[...]
[34] 웹사이트 Gerald R. Ford's Remarks at the Opening of the Ford Museum's Saigon Staircase Exhibit, Grand Rapids Michigan https://www.fordlibr[...] Fordlibrarymuseum.gov 1999-04-10
[35] 웹사이트 OE-1 Bird Dog https://web.archive.[...] National Museum of Naval Aviation
[36] 웹사이트 Lady Ace 09 unveiled at aviation museum http://www.3rdmaw.ma[...] United States Marine Corps 2010-04-30
[37] 웹사이트 Helicopter evacuating crowd from rooftop https://www.gettyima[...] Getty Images 1975-04-29
[38] 뉴스 Thirty Years at 300 Millimeters https://www.nytimes.[...] 2005-04-29
[39] 뉴스 Getting it wrong in a photo https://www.nytimes.[...] 2000-04-23
[40] 웹사이트 Fall of Saigon in Cartoons https://www.cagle.co[...] Cagle Cartoons 2012-04-30
[41] 웹사이트 Photographer who took famous Vietnam War image dies https://www.theguard[...] 2009-05-15
[42] 웹사이트 [2F13] Bart vs. Australia http://www.snpp.com/[...] The Simpsons Archive 2009-06-14
[43] 서적 The Simpsons: A Complete Guide to Our Favorite Family https://archive.org/[...] HarperPerennial
[44] Youtube Oh Saigon: A war in the family (Director's Cut 2018) https://www.youtube.[...] 2024-03-25
[45] 웹사이트 Oh, Saigon {{!}} ITVS https://itvs.org/fil[...] 2024-03-25
[46] 웹사이트 Sundance 2014: Documentary Premieres http://www.indiewire[...] 2014-01-10
[47] Youtube The fall of Saigon https://www.youtube.[...]
[48] Youtube "I Had Lost My Beloved Country" https://www.youtube.[...]
[49] 웹인용 Air America: Played a Crucial Part of the Emergency Helicopter Evacuation of Saigon http://www.historyne[...]
[50] 웹인용 After Action Report 17 April ~ 7 May 1975 http://fallofsaigon.[...] 2010-10-29
[51] 서적 U.S. Marines in Vietnam: The Bitter End, 1973-1975 (Marine Corps Vietnam Operational Historical Series) https://archive.org/[...] Marine Corps Assoc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